본문 바로가기
드론 DIY

내 손으로 만드는 드론: 비행 중 오작동 시 대처법 총정리

by 2uinfo 2025. 9. 7.

 

드론 고장 진단의 첫걸음: 비행 제어기(FC) LED 상태 확인

드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비행 제어기(FC)의 LED 상태입니다. 대부분의 FC는 여러 색상의 LED를 통해 현재 상태를 나타냅니다. 붉은색 LED는 오류나 경고를, 파란색은 정상 작동을, 초록색은 GPS 신호 수신 완료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FC가 정상적으로 부팅되었는지, 특정 센서에 문제가 없는지 등 기본적인 상태를 LED 색깔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만약 LED가 전혀 켜지지 않는다면, FC 자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심각한 고장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 손으로 만드는 드론: 비행 중 오작동 시 대처법 총정리

증상별 고장 원인 파악과 해결책

드론의 고장은 크게 '전원 및 연결 문제', '센서 및 캘리브레이션 문제', '모터 및 변속기 문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증상에 따라 예상되는 원인과 해결책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드론이 아예 켜지지 않거나, 부팅 중 멈춤

  •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배터리 연결 불량이거나 전원 공급 회로의 문제입니다. 또한, 납땜이 불량하여 전선이 쇼트(short)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 해결책:
    • 배터리 및 연결 확인: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었는지 확인하고, XT60 커넥터나 배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육안으로 점검합니다.
    • 납땜 상태 점검: 전선이 서로 닿아있는지(쇼트), 납땜이 떨어지지는 않았는지 꼼꼼히 확인합니다. 특히 FC의 전원 포트 부분 납땜을 재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멀티미터로 확실히 통전테스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USB 연결 테스트: 컴퓨터에 USB로 FC를 연결하여 전원이 들어오는지 확인합니다. PC에서 FC를 인식하지 못하면 FC 자체의 고장일 수 있습니다.

2. 모터가 한쪽만 돌거나, 특정 모터가 회전하지 않음

  • 원인: 특정 모터나 변속기(ESC)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변속기와 모터 간의 연결 문제, 혹은 변속기 펌웨어 설정 오류일 수도 있습니다.
  • 해결책:
    • Betaflight 모터 테스트: Betaflight Configurator의 'Motors' 탭에서 각 모터를 개별적으로 테스트합니다. 이 테스트에서 모터가 정상적으로 회전하면, 모터와 변속기 자체의 문제는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 납땜 및 배선 점검: 변속기와 모터, 그리고 FC와 변속기 간의 납땜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냉납(cold solder)이나 쇼트가 있는지 점검하고 재납땜을 고려합니다.
    • 변속기 펌웨어 확인: BLHeliSuite 또는 ESC-Configurator를 통해 변속기 펌웨어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특히 ESC 프로토콜(DShot, OneShot 등)이 Betaflight의 설정과 일치하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3. 이륙 후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짐

  • 원인: 자이로/가속도 센서 캘리브레이션 오류이거나, 모터의 회전 방향이 잘못 설정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프로펠러를 잘못 장착했거나, 모터 순서가 FC 설정과 일치하지 않을 때도 발생합니다.
  • 해결책:
    • 센서 캘리브레이션: Betaflight Configurator에서 'Setup' 탭으로 이동하여 'Calibrate Accelerometer' 버튼을 클릭해 FC를 평평한 곳에 두고 센서를 초기화를 합니다.
    • 모터 회전 방향 및 순서 확인: Betaflight의 'Motors' 탭에서 모터의 순서와 회전 방향이 드론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필요하다면 BLHeliSuite에서 모터 회전 방향을 변경해야 합니다.
    • 프로펠러 장착 확인: CW(시계 방향)와 CCW(반시계 방향) 프로펠러가 올바른 모터에 장착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4. 조종기 신호가 드론에 연결되지 않음

  • 원인: 조종기(TX)와 수신기(RX) 간의 바인딩 문제이거나, 수신기 전원 공급에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FrSky, ELRS 등)이 일치하지 않을 때도 신호가 연결되지 않습니다.
  • 해결책:
    • 바인딩 재시도: 조종기와 수신기를 다시 바인딩(binding)합니다. 각 조종기 제조사의 매뉴얼을 참고하여 정확한 절차를 따릅니다.
    • 수신기 전원 확인: FC의 5V/GND 포트에 수신기가 제대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지 확인합니다.
    • 프로토콜 일치 확인: 조종기와 수신기 모두 동일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전문가의 꿀팁: 침착함과 체계적인 접근

드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침착함입니다. 복잡해 보이는 문제도 대부분 위에서 언급된 몇 가지 원인 중 하나인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의 증상을 명확히 정의하고, 가장 단순한 원인부터 하나하나 확인해 나가면 문제 해결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장 간단한 것은 배터리 확인, 그다음은 연결부 점검,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설정 확인 순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또한, 드론 제작 초기에는 Betaflight의 'Blackbox' 기능을 활용하여 비행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습니다. 이 데이터는 비행 중 발생한 미세한 오류까지 잡아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결론: 드론 제작은 문제 해결의 즐거움

DIY 드론 제작은 단순히 부품을 조립하는 것을 넘어, 예상치 못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큰 성취감을 얻는 취미입니다. 드론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좌절하기보다는 '드론이 내게 새로운 숙제를 주었구나'라고 생각하고 위 가이드를 따라 차근차근 해결해 보세요. 모든 문제가 해결되고 드론이 다시 하늘로 힘차게 솟아오르는 순간, 여러분은 드론 제작의 진정한 즐거움을 만끽하게 될 것입니다. 함께 드론 제작의 즐거움을 느껴보세요!